구글 챗봇 바드 사용법 (AI 모델 팜2 탑재 및 빙 채팅 차이점)

AI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이 시점. 드디어 구글형 챗 GPT인 구글 챗봇 바드를 정식 출시하였습니다. 사용법은 기존 AI 챗봇처럼 단순하지만 몇가지 차이점이 있으니 사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바드

구글 바드 사용법

영어로는 Bard 한글로는 바드이며 구글에 검색하면 바로 링크가 상단에 검색됩니다.

구글 바드 주소 : Bard (google.com)


단순합니다. 접속 후, 프롬포트 질문 끝.

참고로 대화 나눈 Bard 활동 기록은 좌측 메뉴에 지속 저장되며 저장 주기도 별도 설정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

구글 바드의 최대 장점

무수히 많은 AI 생성형 챗봇이 많이 생기고 있지만 구글 바드의 최대장점은 바로 언어적인 요소입니다. 영어로 완벽히 지원되는 것을 떠나 한국어와 일본어까지 완벽히 지원되고 있어서 별도의 번역 작업이 필요 없다는 점입니다. 조만간 40개 언어로 서비스가 확대 지원될 예정입니다.

빙 AI 채팅과의 큰 차이점 3가지

  • 이미지 그려주는 서비스는 빙 채팅의 승리
  • 구글의 언어 모델은 팜2(PaLM) 마이크로소프트의 빙은 오픈AI의 챗GPT 모델
  • 이미지 생성기능은 바드는 불가 빙은 가능 (달리 활용)
구글 바드

물론 향후에 구글 바드는 구글 렌즈가 결합되어 시각 분석을 사용한 정보제공을 할 듯하니 이 부분이 가장 기대가 됩니다.

참고로 아래는 제가 직접 바드에게 물어본 질문입니다.

Q. 구글 바드를 통해 이미지를 그릴 수 있니?

A. 저는 정보 제공 및 포괄적으로 훈련된 대화형 AI 또는 챗봇이라고도 하는 대규모 언어 모델입니다. 저는 방대한 양의 텍스트 데이터에 대해 훈련을 받았으며 광범위한 프롬프트와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인간과 같은 텍스트를 생성하고 의사 소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실적 주제에 대한 요약을 제공하거나 스토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이미지를 그리거나 생성할 수 없습니다. 나는 텍스트로만 작업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거대 빅테크 기업들의 AI 전쟁에 우리는 사용자로서 많은 활용을 하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같이 보면 좋을 글.

AI 빅테크 기업 소개

Subscribe
Notify of
guest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0
Would love your thoughts, please comment.x
()
x